2020. 2. 19. 14:28ㆍ주식 이야기
1. 낙관하던 시장에 긴장감 불어 넣은 애플. 코로나19의 영향권에 들어온 주요 기업 1분기 실적
주요 기업들의 1분기 실적이 코로나19의 영향권에 들어왔다는 것을 확인. 애플이 코로나19 영향으로 중국에서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1분기 매출액이 가이던스를 하회할 수 있다고 밝힘. 지난달 28일 실적 발표 당시 밝힌 가이던스도 코로나19의 영향을 감안해서 매출액 예상 범위를 630억~670억 달러로 넓게 설정. 3주 만에 이를 하회할 수 있다고 발표하면서 하향 조정치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음.
상위 200개 부품공급자 중에 75%가 적어도 1개 이상의 공장을 중국에 가지고 있으며, 22%는 3개 이상의 공장을 중국에 두고 있는 등, 애플은 중국 의존도가 높음. 따라서 다른 초대형 기술 기업들도 애플과 같은 영향을 받을 가능성은 높지 않음. 하지만 전세계 제조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큰 만큼, 예상치 못한 실적 타격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 형성
수요가 아닌 공급 측의 타격이 예상되면서 투자심리 위축. 지금까지 투자자들은 코로나19로 소비가 위축될 수 있지만 크게 우려하지 않았음. 외식과 같이 바이러스 공포로 사라진 수요가 잘 이연되지 않는 업종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고, 그 외 업종은 코로나19가 잠잠해진 후에 이연된 수요가 나올 것이라고 봤기 때문. 코로나19의 영향이 중국에 제한되고 있다는 평가도 코로나19를 크게 염려하지 않게 만든 이유.
그러나 애플을 통해 공급 측면에서 코로나19의 영향 확인.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아이폰11 모델 중 하나인 미드나잇 그린 256기가의 경우, 제품을 받기까지 8일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지는 등 공급 차질이 수요를 둔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생김. 애플이 1년에 한 번씩 플래그십 모델의 신제품을 발표하는 것을 감안하면, 올해 상반기에 아이폰11의 공급이 수요를 충분히 채우지 못할 경우 5G를 지원할 가능성이 있는 아이폰12의 대기 수요로 이동할 수 있음
중국의 생산은 이른 시일 내에 충분히 재개되지 않을 가능성. 중국 제조업이 조금씩 재가동되고 있지만, 현재 생산되고 있는 아이폰의 재고는 최소 4월까지, 또는 그 이후에도 낮은 수준일 것이라고 함. 그동안 애플은 비교적 저렴한 아이폰9 (아이폰SE의 후속 제품)을 출시해서 아이폰 매출 모멘텀을 올해 상반기에도 유지하려고 계획. 오는 3월 31일에 열릴 예정인 애플 스페셜 이벤트에서 아이폰9을 발표하고 4월 3일부터 출시한다는 루머가 돌고 있는 상황.
애플은 아이폰9의 대량 생산을 2월 말부터 시작하려고 했지만, 이 목표를 맞추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 생산 시작 시점이 3월까지 미뤄지면 아이폰9의 4월 초 출시도 확실치 않음. 애플은 부품사들에게 1,500만대의 아이폰9을 포함, 상반기에 8,000만대의 아이폰 생산 준비를 요청했다고 알려짐. 하지만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생산이 충분히 진행될 수 있을지 불확실.
아이폰 공급망에 속해 있는 중국의 부품제조사들은 지난주부터 생산을 재개했지만, 가동률은 30~50% 수준. 노동력 공급부터 운송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는 만큼, 가동률이 생산능력을 하회하는 상황은 4월까지 계속될 수도 있다고 함. 중국 정부는 생산 재개를 독려하고 있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지역간 이동을 제한하고 의심 환자를 철저하게 격리하고 있는 만큼, 가동률 반등은 당분간 쉽지 않을 전망
2. 다시 알람 울린 캐플란 총재. 지준이 충분한 수준에 가까이 왔다는 인식
연준 대차대조표 확대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될 가능성. 캐플란 댈러스 연은 총재는 레포 입찰이 서서히 줄고 2분기부터 단기국채 매입 금액도 줄어들면서, 유통화폐와 기타 연준의 부채의 추세적 증가에 맞춰 대차대조표는 점진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한다고 밝힘. 현재 지급준비금은 1.675조 달러로 1.5조 달러보다 많지만, 세금납부와 국채 발행 등으로 출렁이면서 1.5조 달러를 하회할 수도 있음.
따라서 대차대조표는 더 증가할 것. 하지만 단기국채 매입을 줄인다는 언급이 나온 만큼, 대차대조표 확장 여지는 크지 않다고 보는 게 맞을 것. 캐플란 총재는 이전에도 대차대조표 확대에 경계심을 보이면서, 레포 입찰 한도 축소를 예고한 바 있음
'주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펀드/환율/안전자산/채권/금리 등 주요 뉴스(2020년2월24일) (0) | 2020.02.24 |
---|---|
중국 공장들의 가동 정상화 시점은?(2020년2월20일) (0) | 2020.02.20 |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2020년2월19일) (0) | 2020.02.19 |
글로벌증시 마감시황(2020년2월18일) (0) | 2020.02.19 |
디즈니에게 러브콜을 보내고 있는 통신3사 주식 사야할까? (0) | 2020.02.18 |